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 꾸준함의 힘 9월부터 아파트 계단 오르기 운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시간이 없어서 못하는 날이 아닌 이상 반드시 하려고 하는 Daily routine 중에 하나. 우리집 아파트 계단은 총 22층으로 한번 오르는데 약 8분의 시간이 걸리며 내려올때는 무릎에 부담가지 않도록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한번 계단을 오르면 약 6 ~ 10회정도를 진행한다. 계단 오르기를 시작했던 9월에는 6회(6회*22층 = 132층)으로 하다가 7회, 8회, 10회로 올려서 11월 요즘에는 10회(10회*22층 = 220층) 운동을 한다. 하루에 220층 정도를 운동으로 수행하는 데 이것은 지하 3층, 지상 60층의 63빌딩을 3.5회 등반하는 것이고 123층으로 이루어진 잠실 시그니엘 타워를 1.8회 등반하는 양이다. 우리집 아파트 22.. 2021. 11. 14. 스타트업은 좋은 선택지가 아닙니다. 'If you work in tech, joining a startup is a bad financial decision' 트위치의 디렉터이자 스타트업 투자자인 Shaan puri 한 말. 당신이 테크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면 스타트업에 합류하는 것은 금전적으로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라는 말. 그 이유에 있어서 대기업이 스타트업보다 당연히 복지도 더 좋고, 연봉도 더 많고 그만큼 스트레스도 덜 하다는 것 그리고 엑싯의 경우 스타트업은 창업가가 대부분을 가져가면서 A 부터 Z까지 다 하면서 스트레스는 더하다는 것 어느정도 맞는 말이다. 대부분의 많은 스타트업이 '스타트업병'이라는 것에 걸려서 엄청 허슬하고 멋진 삶을 사는 것처럼 묘사하지만 그것은 창업가에만 해당되는 말. 이러한 말들이 안나오도록 한국에도 .. 2021. 11. 14.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직장인의 포트폴리오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직장인, 빠르면 40살에 적어도 45세에는 은퇴해서 투자도 하고, 하고 싶은 것 하면서 살고 싶은 직장인의 주식 포트폴리오 공유드립니다. 2017년 해외주식을 시작으로 차근차근 모았던 씨드머니로 매월 조금씩 주식 투자를 했고 지금 약 15개의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하나 둘씩 쌓인 주식 투자 철학을 굳건하게 지키며 하락장에 더 투자하고 상승장에는 버티는 주식 철학을 가지고 투자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장기투자자입니다. 단타하지 않습니다.) 매월 조금씩 투자하면서 주식 주문서처럼 혼자 재미를 느끼기 위해 아래와 같이 주식 매수를 계획하고 적절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분할 매수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애플 10주를 사더라도 10주를 한번에 주문하지 않고.. 2021. 11. 14. 6년차 마케터의 지난 연봉 인상 그래프 얼마전 이직을 준비하고 가고 싶은 회사에 가게 되었다. 그러면서 제안받은 연봉은 5800만원. 아직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6년차에 적지도 많지도 않은 정도의 금액이라고 생각이 든다. 광고홍보를 전공하고 광고 대행사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여, 글로벌 회사에서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매니저, 엔터테인먼트 회사에서 프로젝트 매니저 그 후 커머스 플랫폼에서 그로스 & 퍼포먼스 마케터를 하면서 이번 회사에 그로스 & 퍼포먼스 마케터로 이직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연차별 연봉 인상률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서 도표를 만들어보았다. 다른 사람과 다를바 없이 연봉 2600정도에 사회초년생으로 시작하여 2년차때는 20%, 3년차에는 1% 인상으로 거의 인상하지 못하였고, 4년차 10%, 5년차 20% 이번 이직하는 직장에서는 14%.. 2021. 11. 14.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